오늘날의 자동차 기술은 전자화를 중심으로 화려한 디자인이 대세입니다.

이 현상은 드라이버와 자동차의 하모니가 결코 이루어지지않을 방향으로 자동차가 주인이고

드라이버와 승객이 자동차가 하라는대로 하여야하는 적반하장이 되고 말았습니다.

일종에 AI 기술이 인류를 노예화 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힘까지 가진 자동차에서는 

로봇보다 더 위력있다고 볼 수 있는 시대입니다. 속도를 내려면 자동차가 엑셀에 지시하고

제동을 걸고싶지 않아도 자동차가 제동걸고, 운전대를 틀려하면 돌아가지 못하게 제한하고

사람이 점차 끌려다니며, 엔진쪽에선 터보를 무리하게 가동시켜 엔진 기통수를 줄이고,

연소 특성이 바뀌면 EGR로 역류시켜 성능다운시키고, 경량화를 앞세워 각부위 안전계수

임계치 겨루기에 매진하고, 충격흡수 방식이 BODY 강도 유지보다 앞서 손상과 변형을 시키며,

N.V.H 감소라하여 소음잡는 커버로 차단함에  공기 소통까지 방해하여 정작 엔진 냉각은

나몰라하니 기온이 높은 여름철 주행중 화재로 공포에 질려야하는 운전자~ 어디가서 하소연?

얼른 보기에는 대단히 고급스러운 전자화와 엔진으로 요란하지만, 수명은 짧아지고 과연

드라이버와 혼연일체가 아닌 일방적 AI와 그를 어부지리로 따라야하는 신세는 아닐런지?

값비싸진 자동차 원가를 어찌할꼬?  허상 중심, 돈 중심~ ?  MULTY 에너지 시대 대책은 ?

기존 차의 정감어린 인간 중심 위치를 누가 찾아줄 것인가?  

그러했기에 그 고통스런 장시간 연구 기간과 막대한 투자로 에너지 문제와 자동차의 정의인

"인간 존중의 이동수단"을 회복하여, 지킬 수 있었습니다.  상황 일치 가변연소 엔진 ! 

바로 님들이 사랑해주신 JSVID SYSTEM의 목적이 현실에서 님들과 함께하게된 것입니다.   

 

IMG_7182.jpg

기존 엔진이 추구하던 튜닝 구조의 한계를 넘어 JSVID를 통한 신 성능시대 OPEN !

그간 튜닝 개념은 기계적 구조 개선이었다면, 이제는 자동차 어떤 개조나 변조 없는

엔진, 전기, 수소 등 분자론적 에너지 JSVID 튜닝이 전천후 SOLUTION으로 대세. 

 

IMG_7597.jpg

맑음지니님의 꾸준한 JSVID SYSTEM에 따른 미래 에너지 효율 난제 해결 현상 

즉, 외부 변화에 따른 충방전 효율로 부터 구동력 회수 효율에 이르는 다양한 분석에 대한 

놀라운 시승기에 거듭 감동과 감사를 전합니다.

넥쏘의 속도 제한이 180 km/h로 limit 되었기에 망정이지 200km/h에도 도달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견해셨습니다.    <NEXO 넥쏘 차량은 수소 에너지 차량>

 

본시 전기를 에너지로 채택하고 있는 미래 자동차에서 가장 난관을 겪는 문제점은

 

1,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주행거리 단축에 따른 연비 저하 문제 

2, 수소 전지차량의 경우 연료전지 (fuel cell stact)의 전력 발생 불안정

3, 외부 기후 변화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전력 저장 장치 즉  BATTERY 전력공급 불균형.

4, 주행 조건 변화에 따른 충전 시간 차이와 변화폭 발생 및 방전 효율 불일치

5, 운행 상의 지속 과부하 대응 불안정 및 장시간 지속 운행시 조기 주행력 감소 

6, 배터리 고속 충방전 및 과충전  반복에 따른 배터리 사용 수명 단축 등

 

애로가 존재하고 있기에 미래 에너지 사용상의 구동력 회수 효율 저하가 문제였습니다.

그러나  JSVID SYSTEM을 단계별 UP-GRADE 변경시키고, 맑음지니님이 1년 반 넘는

4 계절을 바꾸어가며 32,100 km를 테스트해본 결과, 기존의 불안정 요인이 전대역에서

과민하게 반응하지 않고있습니다.

따라서 부하변동 대응에도, 순발력 탁월한 주행을 가능케 하고 있어, 새롭게 균형잡힌 

충방전 효율이 상기 테스트 결과 그래프에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요약한다면 수소, 전기, 배터리로 이어지는 미래 에너지의 엄청난 효율 진보를

JSVID SYSTEM이 조화롭게 발굴해 내고 있음을 확인 시켜주고 있습니다.

 

넥쏘 연비-최고속도2.PNG

 

* JSVID 주문성능형으로 교체전 맑음지니 님의 장착 사용기.

 

그리고, 이제 그동안 정들었던 VID SYSTEM 녀석을 차량에서 떼어내서 서울로 올려 보냈어요.

 

그러고나서 4일 정도 운행중인데,

 

첫날은 제거하고 나서 느낌이 별 차이가 없어서 몰랐는데 

 

2일차 부터 확 느껴 졌어요.

 

아래 그림처럼 출발 초기 액셀 반응성에서 가장 크게 차이가 났습니다.

넥쏘 초기 가속반응.JPG

                 <NEXO 넥쏘 차량은 수소 에너지 차량 : 주행 max 180 km/sec>

 
*지난해 미국을 비롯한 북유럽등등의 혹한기 전기차 애로현상

@ 혹한기 경우 따라  30 %이상 주행거리 단축 사례까지 발생한다니 ~

20240118_211620 - 복사본.jpg

20240118_211556 - 복사본.jpg

* 2차전지 차량의 혹한기 정지 사례

- 미국의 북극 혹한 기후 영향으로 전기차 전환 한계 현장사례(출하 급감)

전기차 전환이 대세로 진행되던 관련 AI, 전기, 전자 회사 및 자동차사,

에너지 정책 관련 미래 전환에 대한 심도있는 방향성을 어느 나라에서

해결할 것인가?

 

@ JSVID SYSTEM은 ? 과연 어떠한 에너지 보관 [e-fuel:신 합성연료,

    수소, 전기(배터리),기타] 차별 방향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일까? 

 

 전기 에너지는 연료 에너지의 열 발생 현상을 지구 양극과 음극의 자기적 현상을

 이용한 전기 에너지화 과정을 거쳐 배터리 소재의 대전 반응을 유도하여, 전기

 형태로 에너지 보관을 가능케하는 과정을 가진 구성 - 

 그러나 이 전기 에너지는 에너지 법칙상 열 에너지 대비, 한 단계를 더욱 진행

 하였기에 외부적 환경 즉, 온도, 습도등 외부 기후 변화 등에 민감하여 심한 온도

 변화에 대전 현상이 약화되기 때문에 영하,영상의 온도 한계 범위를 넘어설 경우

 손실율이 급격히 증가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한 자연 현상 한계를 JSVID System은 극복할 공약 반응을 유도하여,  결국

 효율성과 생산가를 살리려면 에너지의 보관 선택을 차별적 고효율 공유 반응 현상

 으로, 상대론적 가변 실현시킨, 차원을 달리한 에너지 손실 최소화 SYSTEM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어필되고있는  e - fuel이 검토되고 있으나,  이 또한

 생산과 적용 합리화를 실현할 수 있는 JSVID System matching 이 

 공존되어야 하는 절대성이 필수입니다.

*  e-fuel 은 수소를 중심으로 탄소(c)를 제외한 연료 성분 요소를 전기분해의 

반대 특성인 전기 결합 유도 방식을 통하여 조성한 액화 합성 연료를 말합니다.

공기질의 탄소 성분 과다 등에 따른 지구 기후 변화, 온난화 등 각종 연소 배출

장애에 대응 방안으로, 한때 독일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내연기관에도 사용될

있는 천연연료의 대체 연료가 다시 제시되고 있는 인공합성 e-fuel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