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석 wrote:


>부산LPG에서 어제 장착완료했습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는데요?


>


>1. 알터네이터가 작동해야지만 기능이 ON된다고 하셨는데 기기가 정상 작동중인지 확인 방법은 없는지요?


>


>2. 어떠한 센서류도 부착되지 않는 것 같던데 그렇다면 진동파는 엔진 행정과는상관없에 계속 주기적으로 발생되고 있는건가요 아님 카달록처럼 연료 분사시에만 강하게 발생되나요?


>


>3. 케이블의 접지 위치에 따른 효과의 차이는 없나요? 예를들어 엔진의 옆에 연결한다던가..


>


>4. 진동파가 엔진벽을 뚫고 연소실에 들어가야 효과가 발휘될텐데 어떤 경로로 연소실로 전달이 되나요? 엔진 전체를 흔들어버리는건 아니겠죠?


>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깊은관심 감사드립니다.




1.VID 는작동상태를 확인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진동의 급격한 변화.그리고 배기가스의 냄새변화 입니다.


일반적으로 기계적 고장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확인이 수시로 필요 하겠지만


VID는 끊임없이 성능을 내고있어 그특성이 변화하거나 작동이 불합리


할경우에는 차량의 계측기에 check 또는 이상신호가 뜰수밖에없는


구조 입니다.


그러나 내구성이 탁월하여 고장은 걱정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알터네이터 신호는 밭테리 특성과구분되며 전압도 다름니다.


엔진의 회전수와 엔진가동을 감지 함으로서 VID가 비로서 작동되어야


밭테리 방전을 비롯한 자체회로 보호가 가능한것이 아닐까요.




2.연소실의 압축변화를 응답선 (검정선)으로 감지한후 다시 응답하는


sensing and answer 방식입니다.(게시판 no.1305 답변 참조)




3.장착설명서 기준이며 엔진의 흡기쪽과 Block에 응답선을 설치하면


VID가 신호를 교번하면서 연소행정 연소실에 진동파를 전달합니다.


입력선(붉은선)은 반드시 Bat + 단자 또는 알터네이터B+ 단자에연결하여야만


합니다.


일반적인 발진파의 경우에는 금속내에 파의 전달이 용이치 않겠지요.


따라서 응답선의 단자 접촉부에 저항요소가 생기지 않토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참고가 되시기바라며 VID와 더불어 항상 행복한 운전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제이스